728x90
반응형
SMALL
요약
- 국내 반려동물 사료 브랜드 1위는 로얄캐닌.
- 반려견 사료: 3년 만에 1위 탈환
- 반려묘 사료: 10년 연속 1위 유지
- 개·고양이 사료 시장에서 로얄캐닌이 전체 1위 차지.
- 2위~5위: 우리와, 한국마즈, 대주산업, 네츄럴코어.
- 길고양이 사료 시장도 커지는 추세.
- 일부 고급 브랜드는 가격 인상으로 판매 감소.
- 반려동물 시장 규모: 1.85조 원(2022년) → 1.97조 원(2023년 예상).
핵심 내용
구분내용로얄캐닌 1위 | 반려견 사료: 3년 만에 1위 탈환, 반려묘 사료: 10년 연속 1위 유지 |
전체 사료 시장 순위 | ① 로얄캐닌 ② 우리와 ③ 한국마즈 ④ 대주산업 ⑤ 네츄럴코어 |
우리와 성장 배경 | 2019년 대산앤컴퍼니 인수 후 시장점유율 상승 |
대주산업 특징 | 길고양이 사료(캐츠랑) 판매 호조 |
반려견 사료 브랜드 순위 | ① 로얄캐닌 ② 네츄럴코어 ③ ANF ④ 시저 ⑤ 더리얼 |
반려묘 사료 브랜드 순위 | ① 로얄캐닌 ② 캐츠랑 ③ 챠오츄르 ④ 뉴트리플랜 ⑤ ANF |
시장 규모 전망 | 2022년 1.85조 원 → 2023년 약 1.97조 원(6% 성장) |
브랜드 변화 | 6~10위 반려묘 사료 브랜드 순위 전년 대비 모두 변경 |
고급 브랜드 하락 | 힐스, 내추럴발란스 등 일부 브랜드 가격 인상으로 소비자 이탈 |
최종 평
로얄캐닌이 반려견·반려묘 사료 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 반려묘 시장에서는 10년 연속 1위를 기록하며 브랜드 선호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우리와, 한국마즈 등 경쟁사들도 시장에서 강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으며, 길고양이 사료의 판매 증가로 대주산업 역시 꾸준한 성장을 보인다. 반려동물 시장 규모는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지만, 가격 인상이 소비자의 브랜드 이동을 유발하는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728x90
반응형
LIST
'[반려 동물] 사료 및 간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견사랑] 9월 3주차 반려견 사료 순위 및 추천 (0) | 2025.09.16 |
---|---|
[애견사랑] 8월 5주차 반려견 사료 순위 및 추천 (0) | 2025.08.26 |
[애견사랑] 8월 5주차 반려견 사료 순위 및 추천 (0) | 2025.08.25 |
[애견사랑] 2월 3주차 반려견 사료 순위 및 추천 (0) | 2025.02.16 |